[군인 필독] 희망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가능 여부와 군 복무 시 가입 조건 총정리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는 정부 지원 상품 중 희망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제도입니다. 특히 군 복무 중인 청년들은 나이 요건과 서류 준비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중복 가입 가능 여부, 군 복무 시 가입 조건, 필요 서류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희망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동시에 가능할까?
정부 자산형성 지원사업은 중복 가입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며,
-
기존 가입 계좌를 해지한 뒤 재가입은 가능하지만, 지원금 반환이나 재가입 제한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구분 | 희망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
대상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 만 19~34세 근로·사업소득 있는 청년 |
지원 방식 | 정부 매칭 지원금 지급 | 5년간 장기 적금 + 정부 기여금 |
중복가입 | ❌ 불가 | ❌ 불가 |
희망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에게 유리하고, 청년도약계좌는 일정 소득이 있는 청년에게 더 적합합니다.
2. 군 복무 시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군 복무자는 나이 산정에서 복무 기간(최대 6년)을 차감합니다.
예) 36세라도 2년 복무했다면 34세 기준 충족 가능
-
복무 중 가입 가능하지만, 실제 납입은 전역 후 소득 발생 시점부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문가 TIP
전역 전에 미리 은행 상담을 받아두면, 전역 즉시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이 됩니다.
3. 군 복무자의 청년도약계좌 가입 서류
군 복무로 인한 나이 요건 완화를 적용받으려면 아래 서류를 준비하세요.
서류명 | 발급처 | 용도 |
---|---|---|
병적증명서 | 병무청 | 복무 기간 확인 |
군 경력증명서 | 군 부대·국방부 | 나이 요건 완화 증빙 |
신분증 | 행정기관 | 본인 확인 |
소득확인서류 | 회사·세무서 | 가입 조건 충족 증빙 |
주민등록등본 등 | 행정기관 | 부수 서류 |
군 복무 확인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을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니, 은행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4. 자주 묻는 질문(FAQ)
Q1. 두 계좌를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
A1. 아니요, 둘 중 하나만 가능합니다.
Q2. 군 복무자는 나이 제한이 어떻게 완화되나요?
A2. 복무 기간만큼 가입 가능 연령에서 빼줍니다.
Q3. 복무 중에도 가입 가능한가요?
A3. 가능하지만 납입은 소득 발생 시점부터 합니다.
Q4.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필수 소득 요건은 뭔가요?
A4. 연 6,000만원 이하의 근로·사업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Q5. 희망저축계좌에서 청년도약계좌로 변경할 수 있나요?
A5. 기존 계좌를 해지 후 신규 가입은 가능하지만, 일부 제한이 있습니다.
5. 결론
희망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본인 상황에 맞는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군 복무자는 나이 완화 혜택이 있으니 전역 전후로 서류를 잘 준비해두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