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계정 탈퇴하는 방법 총정리

페이스북 계정 탈퇴하는 방법 총정리

2025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 소득별 기준표 알아보기


놓치면 300만원 손해!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 소득별 기준표

수술, 입원, 고액 치료... 의료비 부담 때문에 걱정이 많으셨죠? 본인부담상한제라는 제도가 있어서, 소득 수준에 따라 정해진 금액 이상은 국가에서 돌려드립니다. 특히 2025년에는 기준이 더 완화되어서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우리 가족은 1년에 의료비를 얼마까지만 부담하면 될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나의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하기


건강보험료앱 다운받고 조회하기(안드로이드용)


건강보험료앱 다운받고 조회하기(아이폰용)


🏥 본인부담상한제란?

1️⃣ 소득에 따라 1년간 본인이 부담할 의료비 상한액을 정해둠 

2️⃣ 상한액을 초과한 금액은 건강보험공단에서 환급 

3️⃣ 비급여(성형, 한방 등) 제외, 급여 본인부담금만 해당

쉽게 말해 "소득이 적을수록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 2025년 소득분위별 본인부담 상한액표

📊 월별 상한액 (2025년 기준)

소득분위 기준중위소득 월 상한액 연 상한액 대상자 예시
1분위 30% 이하 6만 7천원 80만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2분위 30~50% 10만원 120만원 월소득 150만원 이하
3분위 50~75% 15만 5천원 186만원 월소득 150~250만원
4분위 75~100% 22만 3천원 268만원 월소득 250~350만원
5분위 100~150% 30만 8천원 370만원 월소득 350~500만원
6분위 150~200% 46만 2천원 554만원 월소득 500~700만원
7분위 200~300% 69만 2천원 831만원 월소득 700~1,000만원
8분위 300% 초과 92만 3천원 1,108만원 월소득 1,000만원 초과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1~3분위 상한액 대폭 인하!

  • 1분위: 월 8만원 → 6만 7천원 (연 16만원 절약)
  • 2분위: 월 12만원 → 10만원 (연 24만원 절약)
  • 3분위: 월 18만원 → 15만 5천원 (연 30만원 절약)

✅ 중위소득 기준 완화

  • 더 많은 분들이 낮은 분위에 해당되어 부담 경감

🧮 "우리 가족은 얼마까지?" 간단 계산법

STEP 1: 우리 가족 소득분위 확인하기

💡 간단 자가진단:

4인 가족 기준 (2025년)

  • 월소득 150만원 이하 → 2분위 (월 10만원까지만 부담)
  • 월소득 150~250만원 → 3분위 (월 15만 5천원까지만 부담)
  • 월소득 250~350만원 → 4분위 (월 22만 3천원까지만 부담)
  • 월소득 350~500만원 → 5분위 (월 30만 8천원까지만 부담)

1인 가구 기준

  • 월소득 100만원 이하 → 2분위
  • 월소득 100~170만원 → 3분위
  • 월소득 170~240만원 → 4분위
  • 월소득 240~350만원 → 5분위

STEP 2: 작년 의료비 지출 계산하기

📋 포함되는 의료비 (급여 본인부담금)

  • ✅ 진료비 본인부담금 (30% 또는 20%)
  • ✅ 입원비 본인부담금 (20%)
  • ✅ 약값 본인부담금 (30%)
  • ✅ 검사비, 수술비 본인부담금

❌ 제외되는 의료비

  • ❌ 비급여 진료 (성형, 라식, 한방 등)
  • ❌ 상급병실료 차액
  • ❌ 건강검진비
  • ❌ 간병비, 의료용품 구입비

STEP 3: 환급금 계산하기

🔢 계산 공식: 환급금 = 연간 급여 본인부담금 - 연 상한액

💸 실제 환급 사례 - "이런 분들이 받았어요"

사례 1: 암 수술받은 김○○님 (55세, 3분위)

👨‍💼 가족 상황: 4인 가족, 월소득 200만원 (3분위) 🏥 의료비 상황:

  • 위암 수술 및 항암치료 6개월
  • 2024년 총 의료비: 800만원
  • 급여 본인부담금: 240만원 (30% 부담)

💰 환급 계산:

  • 3분위 연 상한액: 186만원
  • 환급금: 240만원 - 186만원 = 54만원

📝 후기: "암 진단받고 돈 걱정이 컸는데, 54만원이나 돌려받아서 정말 도움됐어요."

사례 2: 출산 후 신생아 치료받은 이○○님 (32세, 4분위)

👩‍👧 가족 상황: 3인 가족, 월소득 280만원 (4분위) 🏥 의료비 상황:

  • 제왕절개 출산 + 신생아 중환자실 2주
  • 2024년 총 의료비: 450만원
  • 급여 본인부담금: 135만원

💰 환급 계산:

  • 4분위 연 상한액: 268만원
  • 135만원 < 268만원 → 환급 대상 아님

💡 포인트: 총 의료비가 많아도 급여 본인부담금이 기준이에요!

사례 3: 당뇨 합병증 치료받은 박○○님 (68세, 2분위)

👴 가족 상황: 2인 가족, 월소득 120만원 (2분위) 🏥 의료비 상황:

  • 당뇨병성 신증으로 투석 치료 시작
  • 2024년 급여 본인부담금: 180만원

💰 환급 계산:

  • 2분위 연 상한액: 120만원
  • 환급금: 180만원 - 120만원 = 60만원

📝 후기: "투석 때문에 병원비가 걱정이었는데, 매년 60만원 정도 돌려받을 수 있다니 안심이 돼요."

사례 4: 척추 수술받은 최○○님 (45세, 5분위)

👨‍💼 가족 상황: 4인 가족, 월소득 400만원 (5분위) 🏥 의료비 상황:

  • 허리디스크 수술 + 재활치료 3개월
  • 2024년 급여 본인부담금: 85만원

💰 환급 계산:

  • 5분위 연 상한액: 370만원
  • 85만원 < 370만원 → 환급 대상 아님

💡 포인트: 소득이 높으면 상한액도 높아져서 환급받기 어려워요.

📅 2025년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일정

🚨 8월 말 - 가장 중요한 시기!

매년 8월 25일~31일경 전년도(2024년) 본인부담상한제 초과금 일괄 통보

📱 이런 방식으로 알려드려요:

  • The 건강보험 앱 푸시 알림
  • 문자 메시지 (피싱 주의! 링크 없는 단순 안내만)
  • 우편 통지서

💰 환급금 지급 시기

  • 신청 완료: 8월 말~9월 초
  • 환급금 입금: 9월 중순~10월 초
  • 금액: 수만원~수백만원 (개인차 있음)

📋 준비해야 할 것들 (8월 대비)

  1. The 건강보험 앱 미리 설치 및 로그인 확인
  2. 환급받을 계좌 정보 준비
  3. 자동환급 동의 미리 설정 (추천!)

🎯 환급금 놓치지 않는 3가지 꿀팁

1️⃣ 자동환급 설정 필수!

지급동의계좌 사전신청 방법:

  1. The 건강보험 앱 로그인
  2. '나의 건강보험' → '환급금 자동지급 동의'
  3. 계좌번호 입력 및 동의서 작성
  4. 제출 완료

✅ 이렇게 하면:

  • 환급금 발생시 자동으로 계좌 입금
  • 별도 신청 없이도 3년 내 모든 환급금 수령
  • 입금 시 문자 알림까지!

2️⃣ 의료비 영수증 보관하기

📁 이것만 챙기세요:

  • 병원 진료비 영수증 (본인부담금 표시된 것)
  • 약국 처방전 영수증
  • 큰 병원 입원비 계산서

💡 보관 팁:

  •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어서 클라우드 저장
  • 월별로 폴더 정리해서 연말에 한번에 계산
  • 가족 구성원별로 따로 관리

3️⃣ 가족 합산 혜택 활용하기

👨‍👩‍👧‍👦 가족 중 누구든 상한액 초과시 모두 혜택:

  • 배우자, 자녀, 부모님 의료비 합산 가능
  • 가족 중 한 명이라도 상한액 초과하면 전체 가족이 혜택
  • 단, 같은 건강보험증에 등록된 가족만 해당

예시: 아버지가 수술로 200만원, 어머니가 치료로 100만원 썼다면? → 총 300만원으로 계산해서 환급금 더 많이 받을 수 있어요!

⚠️ 본인부담상한제 주의사항

❌ 이런 경우는 해당 안 돼요

1. 비급여 치료비

  • 성형수술, 라식/라섹 수술
  • 한방 치료 (보험 적용 안 되는 것)
  • 상급병실료 차액
  • 특진료, 선택진료료

2. 건강검진 관련

  • 종합건강검진비
  • 암검진, 산부인과 검진 등

3. 의료용품 구매

  • 보청기, 의료기기 구매
  • 영양제, 건강식품

⏰ 시효 관리 중요!

  • 환급 신청 기한: 발생일로부터 3년
  • 2022년 환급금 → 2025년 내 신청 필수
  • 기간 지나면 아무리 많은 금액도 못 받아요!

🔍 정확한 소득분위 확인 방법

추정이 아닌 정확한 확인:

  1. The 건강보험 앱 로그인
  2. '나의 건강보험' → '자격/보험료'
  3. '본인부담상한제 적용 현황' 확인
  4. 현재 소득분위와 상한액 정확히 표시

💡 2025년 특별 혜택 놓치지 마세요!

🆕 새롭게 추가된 혜택들

1. 희귀질환자 추가 지원

  • 희귀질환 산정특례 대상자는 상한액 50% 추가 할인
  • 예: 3분위 → 월 7만 8천원까지만 부담

2. 소아청소년 우대

  •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정은 상한액 20% 할인
  • 다자녀 가정은 추가 할인 혜택

3. 임신·출산 특별 지원

  • 임신·출산 관련 의료비는 별도 상한액 적용
  • 기존 상한액과 별개로 추가 혜택

🔥 마지막 체크리스트

✅ 지금 바로 확인해야 할 것들:

  1. [ ] The 건강보험 앱 설치 및 로그인
  2. [ ] 나의 소득분위 정확히 확인
  3. [ ] 2024년 의료비 지출 내역 점검
  4. [ ] 환급금 발생 여부 조회
  5. [ ] 자동환급 동의 설정
  6. [ ] 8월 환급 통지 대비 준비

본인부담상한제는 국가에서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려고 만든 좋은 제도입니다. 하지만 아는 사람만 받는다는 게 아쉬운 현실이에요.

특히 2025년은 기준이 더 완화되어서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이 적거나, 의료비 지출이 많았던 분들은 꼭 한 번 확인해보세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확인했다가 수십만원, 수백만원을 돌려받는 분들이 정말 많거든요.

지금 당장 3분만 투자해서 우리 가족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놓친 환급금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문의:

  •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 월~금 09:00~18:00

📱 관련 앱/사이트: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가족, 지인들과 꼭 공유해주세요.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이 정말 많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