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180일 계산] 주5일 근무 시 고용보험 가입일수 계산 방법과 예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고용보험 가입일수 180일 이상 여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날짜 예시를 가지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드립니다.
1. 실업급여 180일 계산 기본 원칙
- 주15시간이상을 근무한 날을 근무 일로 포함시킴.
- 무급휴직, 공백기간, 주 15시간 미만의 근무일은 제외됨
- 시작일과 종료일 모두를 포함해서 고용 보험 계산 방식이 적용
- 이직일로 기준하여 18개월이내 기준 기간을 정함
주 5일 풀타임 근무라면, 해당 기간의 모든 날짜가 가입일수에 포함됩니다.
2. 날짜별 계산 예시
첫 번째 회사: 2024-05-13 ~ 2024-07-20
-
5월: 19일
-
6월: 30일
-
7월: 20일
합계: 69일
두 번째 회사: 2024-09-20 ~ 2025-04-04
-
9월: 11일
-
10월: 31일
-
11월: 30일
-
12월: 31일
-
1월: 31일
-
2월: 28일
-
3월: 31일
-
4월: 4일
합계: 197일
전체 합계: 69일 + 197일 = 266일
🔍 전문가 TIP
180일은 "6개월"이 아니라 "6개월 이상 근무일수" 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 3일, 주 4일 근무처럼 주 15시간 미만이면 하루가 가입일수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실업급여 자격 조건 정리
조건 | 설명 |
---|---|
고용보험 가입일수 | 180일 이상 (18개월 이내) |
이직 사유 | 비자발적 이직(권고사직, 계약만료 등) |
근무시간 | 주 15시간 이상 |
구직 의사 | 적극적인 구직활동 |
180일 이상이어도, 본인 사직(자발적 퇴사)의 경우 실업급여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FAQ)
Q1. 휴일도 가입일수에 포함되나요?
A. 네, 주 15시간 이상 근무 조건이 충족되면 휴일도 포함됩니다.
Q2. 회사 사이의 공백 기간은 포함되나요?
A. 아니요. 공백 기간은 가입일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Q3. 계약직·아르바이트도 포함되나요?
A.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고용보험 가입이 되었다면 포함됩니다.
Q4. 육아휴직 기간은 포함되나요?
A. 고용보험 가입은 유지되지만 실업급여 가입일수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Q5. 회사가 보험료를 늦게 납부하면 어떻게 되나요?
A. 가입일은 근무 시작일 기준으로 인정되므로 큰 문제 없습니다.